근래 차례 과정을 간소화하는 바람이 불면서 많고 적고를 떠나서 가족이 먹을 수 있는 양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답니다. 높은 물가에 차례상 음식 종류를 간소화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상차림에 대한 높은 관심은 여전하답니다.
상에 꼭 올려야 하는 음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잇따르고 있답니다. 2열에 올리는 전 종류와 조율이시에 해당하는 대추, 밤, 배와 아울러서 곶감, 홍동백서에 해당하는 과일 등이 손꼽힌다. 떡국만 두고 간단히 설을 여는 가정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답니다.
전통적인 설 차례상은 1열에서 5열로 채워집니다. 1열은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리고 2열은 어동육서, 두동미서 등의 규칙을 따라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을 올립니다. 3열은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가 자리한답니다. 4열은 좌포우혜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라는 뜻입니다. 5열은 조율이시와 홍동백서인데다.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로 음식을 놓고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자리한답니다.